목록카카오 (62)
![](http://i1.daumcdn.net/thumb/C600x400/?fname=https://blog.kakaocdn.net/dn/ZRLJ5/btrnBaHfuQG/kzJkRTjXMFAkPUzCFPuZ31/img.jpg)
경기 성남시의 한 정보통신(IT) 기업에 근무하는 A씨는 올해 7~8월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3시간에 불과했다. 새로운 소프트웨어 공개를 앞두고 개발팀 전체가 ‘비상 근무’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그는 오전 4시에 일어나 다음날 오전 1시에야 잠을 자는 생활을 2개월간 지속해야만 했다. 주말과 휴일에도 예외는 없었다. A씨의 주당 근무 시간은 100시간을 넘기기 일쑤였다. 그는 정신이 멍해지고 소화가 잘 안되는 등 몸에 이상이 생겼지만 성과에 대한 압박 탓에 계속 일해야만 했다. A씨는 “대외적으로는 주 52시간을 지켜야 했기에 추가 근무수당도 제대로 받지 못했다”면서 “작업 막바지에는 ‘이러다가 쓰러지는거 아닌가’하는 생각까지 들었다”고 털어놨다. 국내 최대 IT단지인 판교테크노밸리가 위치한 경기 성남시..
![](http://i1.daumcdn.net/thumb/C600x400/?fname=https://blog.kakaocdn.net/dn/SYrKl/btricD0EsZJ/S0XHARZZfrNtfyQJaTIm21/img.jpg)
서명하기 http://itgame119.com/ 판교IT사업장 직장내괴롭힘 공동대책위는 네이버등 IT노동조합과 직장갑질119등 시민사회 단체가 함께 직장내괴롭힘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기구입니다. IT공동대책위에서는 IT직장갑질신고센터 운영, 직장내괴롭힘 관련 노사정 간담회, 직장내괴롭힘 신고, 조치방식 개선을 위한 단체협약 표준안, IT노동자 정신건강실태조사, 직장내 괴롭힘 처벌강화를 위한 근로기준법 개정 등의 활동을 함께 하고 있습니다. 현재 고용노동부 직장내괴롭힘 대응 가이드에는 9가지 괴롭힘 유형이 안내되어 있지만 최근 IT기업에서 벌어지는 괴롭힘 유형을 포괄하고 있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에 IT기업의 직장내괴롭힘 문제를 더 명확하게 진단하고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아래 3가지 유형의 추가를 요..
![](http://i1.daumcdn.net/thumb/C600x400/?fname=https://blog.kakaocdn.net/dn/0iYgF/btrh5ZR9qao/8F5YJwz4JmMz1ZqPIG3MgK/img.jpg)
대표법인, 지주사보다 위상 더 커 계열법인 두고 그 밑엔 ‘운영법인’ 저비용으로 운영 업무 맡기려 분사 임금·복지 차별에 “사실상 하청” “회사 통합교섭 나서야 문제 해결” 한국 사회에서 카카오, 네이버, 넥슨, 넷마블 등 주요 정보기술(IT)·게임사들은 더 이상 성장성 높은 중소·벤처기업이 아니다. 코로나19 사태로 비대면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올해 네이버(자산 27위)·넥슨(34위)·넷마블(36위)이 자산 10조원 넘는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에 새로 포함되는 등 카카오(18위)와 함께 명실공히 한국을 대표하는 대기업이 됐다. 그러면서 이들의 계열사 지배구조도 본격적으로 감시 대상에 올랐는데 놀라운 것은 이들의 계열사 수였다. 지난 4월 기준으로 공정거래위원회 분류상 카카오는 118개, 네이버는 45개, ..
![](http://i1.daumcdn.net/thumb/C600x40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Ypm6/btq8Kcyu9tf/DjqavaYGFrPkWXab1G4WZ1/img.jpg)
카카오의 금융 자회사인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는 요즘 ‘잘나간다’. 영업 개시 3년차인 2019년 흑자 전환에 성공(당기순이익 137억원)했고, 지난해에는 당기순이익 1000억원을 돌파했다(1136억원). 월간활성이용자(MAU)는 1300만명에 달한다. 설립 준비 때 100명에 못 미쳤던 직원 수는 올해 1000명을 넘어섰다. 지난 17일 한국거래소에서 코스피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받아 하반기 상장을 앞두고 있다. 업계는 카카오뱅크의 기업가치를 20조원으로 추정한다. 회사의 급속한 성장 이면에선 구성원들의 불만이 싹트고 있다. “이제 겨우 5년차인 회사지만 조직문화가 많이 변했다. 회사가 가치로 내세웠던 소통과 공유, 수평적인 문화가 폐쇄적이고 수직적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기존 기업의 수직적 구조에서 느..
![](http://i1.daumcdn.net/thumb/C600x400/?fname=https://blog.kakaocdn.net/dn/ddVSYY/btq8Js8QPGi/J3PwXZX5X3LqeljATPU3ak/img.png)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에 노동조합이 설립돼 성과급 등에 대해 회사와 대화에 나선다. 26일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카카오지회는 지회 산하로 카카오뱅크 노동조합이 꾸려졌으며 4월초부터 회사와 본격적으로 교섭에 나선다고 밝혔다. 카카오뱅크 직원들은 카카오 공동체 노동조합인 크루유니언(Crew union)을 통해 활동해왔지만 최근 조합 설립이 필요성에 의견이 기울어 노동조합을 조직한 것으로 확인됐다. 카카오뱅크 노동조합은 투명한 인사 평가와 그에 기반한 적절한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카카오지회 서승욱 지회장은 "실적에 따라 보상이 달라지긴 하지만 카카오뱅크 직원들은 보상이 어떻게 이뤄지는지에 대해 전혀 알 길이 없다고 말했다"며 "카카오뱅크는 설립 초에 적은 인원으로 시작해 내부 소통이 잘 이뤄졌지만..
![](http://i1.daumcdn.net/thumb/C600x400/?fname=https://blog.kakaocdn.net/dn/dwjO4l/btq1vhe9M2l/JyUe7iIxwYAJ7Fj4DpPMF0/img.jpg)
최근 카카오 직원들이 자사의 인사평가 제도를 비판하고 나섰다. 동료평가 항목의 한 질문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 평가의 목적에 비춰볼 때 해당 문항은 적절한가? ⓒ시사IN 신선영카카오의 인사평가 제도를 말하는 이흥열 카카오 노조 사무장, 서승욱 카카오 노조 지회장, 진창현 엑스엘 리부트 분회장(오른쪽 사진 왼쪽부터) 2월17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앱인 ‘블라인드’에 카카오 직원으로 추정되는 이용자의 유서 형식 글이 올라왔다. “지금 삶은 지옥 그 자체다. 내 죽음을 계기로 회사 안의 왕따 문제는 없어졌으면 좋겠다.” 다음 날인 2월18일 카카오 직원으로 추정되는 또 다른 이가 ‘용기 내어 폭로합니다. 카카오의 인사평가는 살인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면서 인사평가 제도 논란으로 이어졌다. “카카오는 평..
![](http://i1.daumcdn.net/thumb/C600x400/?fname=https://blog.kakaocdn.net/dn/czeqkB/btq0teYh9kP/lx6ouDHd12b1wd9Dusn01k/img.png)
크루유니언 오픈스터디 '신규입사자를 위한 노동법 스터디' 오픈 스터디는 조합원뿐만 아니라 모든 크루들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새로 합류한 뉴크루들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조합원으로 함께하시면 더 많은 참여가 가능합니다. 가입하기 https://tinyurl.com/rvaerak2
![](http://i1.daumcdn.net/thumb/C600x400/?fname=https://blog.kakaocdn.net/dn/SgtT0/btqQ57OJArU/jM4DqrrmRtRMYH8l1jKd40/img.jpg)
12월부터 교섭위원간 상견례를 시작으로 임금교섭이 진행중입니다. 이번 임금교섭은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온라인/오프라인을 병행하며 진행하고 있습니다. 응원하고 지지해주시는 조합원분들, 크루들과 함께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현재 진행중인 교섭 - 임금협약 : 카카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디케이테크인 - 단체협약 : 엑스엘게임즈 2020년 임금교섭과 같이 교섭진행과정은 오픈톡(온라인)을 통해 공유드립니다. 교섭이 진행되고 있는 공동체법인 4곳에 플랜카드를 게시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600x400/?fname=https://blog.kakaocdn.net/dn/EsAe8/btqQ5695k7M/Rd2K3SQxvROl0gCtknZfR0/img.png)
크루유니언에서 조합원 스터디 프로그램으로 '직장인이 알아야할 세금상식'를 준비했습니다. 곧 연말정산 시즌도 다가오고 있고 임금교섭도 예정되어 있는데요. 먼저 내가 가진 소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면 어떨까요? 사전신청과 함께 질문을 남겨주시면 프로그램에 반영하겠습니다. 조합원분들은 개별 상담신청도 가능합니다.